본 게시글은 RISC-V Software Collaboration의 github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또한 Ubuntu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Fedora, CentOS 등 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원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.
https://github.com/riscv-collab/riscv-gnu-toolchain
GitHub - riscv-collab/riscv-gnu-toolchain: GNU toolchain for RISC-V, including GCC
GNU toolchain for RISC-V, including GCC. Contribute to riscv-collab/riscv-gnu-toolchai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[Linux] Vagrant & Virtual Box을 이용한 가상 머신 만들기
[Linux] Vagrant & Virtual Box을 이용한 가상 머신 만들기
k-j-w.tistory.com
먼저 [Linux] 카테고리의 게시글을 참고하여 가상머신을 생성해줍니다.
그리고 위 그림과 같이 가상머신을 실행해줍시다. 이 부분은 VM 응용프로그램으로도 할 수 있고, Powershell 또는 command 창에서 아래 코드를 작성해서도 가능합니다.
vagrant up
vagrant ssh
그리고 위와 같이 vagrant ssh를 command에 입력하면 Ubuntu 가상머신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.
그럼 위와 같은 terminal을 볼 수 있습니다. 저는 편의상 VS code와 SSH를 연동해서 사용했습니다. VS code, vagrant 연동 방법은 추후에 게시물로 작성해보겠습니다.
이제 RISC-V toolchain 설치를 위한 환경셋팅은 끝입니다.
Getting the sources from risc-v github
첫 번째로 risc-v github에서 소스파일을 clone 해줍니다. ubuntu 첫 화면에서 입력해주면 됩니다.
git clone --recursive https://github.com/riscv/riscv-gnu-toolchain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riscv-gnu-toolchain이라는 폴더가 생성되면서 toolchain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. 약 6.6GB의 용량을 사용하고 시간도 1시간가량 거리니 다른 작업을 하시면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.
다운로드가 완료되고 ll 또는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riscv-gnu-toolchain이라는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Prerequisites
그리고 toolchain 설치 전에 필요한 package들을 install 해줍니다.
sudo apt-get install autoconf automake autotools-dev curl python3 libmpc-dev libmpfr-dev libgmp-dev gawk build-essential bison flex texinfo gperf libtool patchutils bc zlib1g-dev libexpat-dev
위 명령어를 ubuntu 초기 화면에서 입력해주면 됩니다. 저는 첫 시도에서 texinfo, libexpat-dev에 대한 경고가 떠서 install이 제대로 안됐는데, 저와 같은 경고가 뜨신 분들은 다음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upgrade
정확한 설명은 아닙니다만, Linux OS에서 설치할 수 있는 목록들을 update 해주는 명령어인 것 같습니다.
다시 package installation을 진행해주시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.
Installation
이제 다운로드한 risc-v toolchain을 설치해줘야 합니다. ubuntu 초기 화면에서 cd riscv-gnu-toolchain을 입력해 이동합니다.(cd gn 까지만 입력하고 tab 하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!!)
그리고 toolchain을 설치할 폴더를 생성해주는데요. 경로를 지정해줘야 하므로 riscv-gnu-toolchain 폴더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줘야 합니다.
mkdir opt/riscv
왜 폴더 이름이 이렇게 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, RISC-V github에서 이런 guide를 줬습니다.
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해서 위 폴더 경로에 toolchain을 설치하면 됩니다.
./configure --prefix=/opt/riscv
make linux
이때 make linux에서 설치가 진행이 안될 수 도 있습니다. 위 과정을 잘 따라오셨다면 별 다른 문제는 없으므로 make linux 대신 sudo make linux를 입력해주시면 설치가 진행됩니다.
이런 식으로 명령어가 뜨면서 에러가 없으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것입니다.
설치에는 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하니 이 또한 다른 작업하시면서 하면 되겠습니다.